우리밀과 수입밀의 비교, 무엇이 다른가?
단적으로 수입밀에는 봄밀과 겨울밀이 모두 존재하며, 오히려 겨울밀의 비중이 오히려 더 크다. 통상의 이해에서 국수용은 겨울밀(미국ㆍ호주가 중심), 빵용은 봄밀(미국ㆍ캐나다가 중심등)이 주로 도입된다. 재배시기에 따른 수입밀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수입밀 역시 겨울밀이 때문에 안전하다는 것을 말하지는 않는다. 수입밀의 안전성은 봄밀, 겨울밀의 시비보다 재배형태, 이동거리 등이 더 큰 규정력을 가짐을 알 필요가 있다.
- 겨울밀 (추파밀)
ㆍ 미 텍사스, 올클라오마, 캔서스, 네브라스카, 콜로라도 등에서 주로 재배, 적맥으로 국수용으로 수입
ㆍ 호주 전역에서 재배되는 국수용 밀
- 봄밀 (춘파밀)
ㆍ 캐나다 마니토바 주의 밀, 적색춘소맥, 빵용밀로 세계 최고의 평가
ㆍ 미국 몬테나, 북다코다, 남다코다, 미네소타 중, 강적맥으로 빵용으로 수입
안전성에 기초한 우리밀과 수입밀의 이해는 재배형태, 규모, 농사방법, 유통형태 등을 복합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 국내에 이와 관련한 정보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지 않는바, 향후 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 같은 견지에서 우리밀과 수입밀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
우리밀 |
수입밀 |
재배 형태 |
-복합경영의 2모작, 쌀 등 여름작물 후작 -소농중심의 복합영농 |
-단작의 1모작 -기업농 중심의 조방적 경영 |
농사 규모 |
-소규모 재배 ㆍ국내 농가평균 경지 1.4ha임을 참조 |
-대규모(국가별 농가당 경지면적 비교) ㆍ 미국 60haㆍ 호주 114haㆍ 캐나다 120ha |
이동 거리 |
- 국내 생산, 국내 소비 ㆍ경남, 전남, 전북 등이 주산지 ㆍ참고, 서울-부산 416km |
-항해를 통한 대륙 간 이동 ㆍ미국 9,112km 이상 ㆍ캐나다 8,297km 이상 ㆍ호주 6,024km 이상 |
이동 경로 |
-국내 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이동 ㆍ산지→산지 저장창고→제분공장 →개별매장(판매장) |
-수입국 산지에서 해양운송을 거쳐 장기간에 걸쳐 옴 (해양운송만 15~40일) ㆍ수입국 산지→산지 저장창고→선박ㆍ철도 등을 이용한 수출항으로 이동 → 수출항 엘리베이터(곡물창고)에 저장 → 선박이용 해양운송→항구→제분공장→수요처(가공)→개별매장(판매장) |
경제 환산 |
-외화지출 : 0원 -농가 조수입 : 2조8,446억 원(100% 자급, 수매가 3,5000/40kg 전제) |
-856백만$의 외화 지출 -농가조수입 : 0원 |
품종 특성 |
-소규모, 복합경영으로 품종 전문화가 다소 부진함. ㆍ금강밀(면용), 조경밀(빵용)이 중심이나 소규모 생산으로 다용도 사용이 일반적 |
-대규모 기업경영으로 용도별 품종 전문화가 크게 진전됨. ㆍ용도별 특성 면에서 상대적 우위 |
기업농 중심의 대규모 조방적 단작화 재배는 수입밀이 안전성과 환경문제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말해 준다. 농약살포가 항공방제로 실시되어, 밀 자체의 안전성은 물론, 주변 환경에도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된다. 수입밀의 농약살포 시비는 봄밀ㆍ겨울밀 시비가 아니라 대규모 조방적 단작화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최근 캔서스 주 밀생산자협회는 설문조사는 밀생산농가의 76%가 유전자조작밀 재배 도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 농가들은 다른 작물은 유전자조작을 허용하고 있는데, 밀은 허용하지 않아 불리하다는 입장을 제기하고 있다. 이 같은 이해에서 밀을 포기하고, 옥수수 등으로 옮겨가겠다는 의향까지 제기하고 있다.
1만km에 이르는 수입밀 이동거리는 포스트하비스트(Post-harvest)의 일상화와 함께 안전성에 치명적 영향을 안기고 있다. 물론 지구적 규모 환경에도 큰 위협을 안기고 있다.
다만 용도별 특성 고려에서 수입밀은 우리밀보다 우위에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생육기간이 서늘하고 습해야 하는 밀의 특성에 국내 기후가 상대적으로 불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밀의 품종은 제분ㆍ가공기술에서 일정 보완이 가능하며, 이 같은 움직임에서 우리밀의 품질 약점이 상당히 보완될 수 있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내 소비확대를 통한 생산의 확대는 그 만큼 진전된 풍종개량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글루텐이 본래적 존재하지 않는 쌀가루에 효소를 첨가하여 빵을 만들고 있다는 것에서 큰 참고를 할 필요가 있다.
(이 부분은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를 통해 함께 논리를 발전시켰으면 합니다.)
너무나 미미한 수확 후 저장, 가공인프라의 확충도 우리밀 품질개선에 큰 진전을 가져다 줄 것이다. 이 모두 국내 우리밀의 소비확대가 전제될 때 가능한 것이다. 저장고의 신축 과정에 있지만, 아직 많은 아래 사진과 같이 길에서 건조되고 있다. 우리밀 품질개선을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
![](http://happybean.phinf.naver.net/data/2009/4/26/227/6%EC%9B%94%28%EC%88%98%ED%99%95%ED%9B%84%ED%83%9C%EC%96%91%EA%B1%B4%EC%A1%B0%29_hlog_n03531.jpg)
http://happylog.naver.com/nanum001/post/PostView.nhn?bbsSeq=34175&artclNo=123460037439